티스토리 뷰
반응형
선택자 4가지 - 기본 선택자(Basic Selector)
1. 전체 선택자(Universal Selector)
(요소 내부의) 모든 요소를 선택
* 별표시를 선택
css
* {
color: red;
}
* : 전체를 선택
html
<div>
<ul>
<li> 사과 </li>
<li> 딸기 </li>
<li> 오렌지 </li>
</ul>
<div> 당근 </div>
<p> 토마토 </p>
<span> 오렌지 </span>
</div>
출력
2. 태그 선택자(Type Selector)
태그이름이 (div, span, h, p ...)인 요소 선택
css
li {
color: red;
}
li 앞뒤에 아무런 기호가 없으면 '태그 선택자' 이다.
li 태그만 선택
html
<div>
<ul>
<li> 사과 </li>
<li> 딸기 </li>
<li> 오렌지 </li>
</ul>
<div> 당근 </div>
<p> 토마토 </p>
<span> 오렌지 </span>
</div>
출력
3. 클래스 선택자(Class Selector)
HTML class 속성의 값이 .className 인 요소 선택
'.' 이 찍혀있으면 'class속성'을 말하는 것이다.
많이 사용된다.
css
.orange {
color: red;
}
html
<div>
<ul>
<li> 사과 </li>
<li> 딸기 </li>
<li class="orange"> 오렌지 </li>
</ul>
<div> 당근 </div>
<p> 토마토 </p>
<span class="orange"> 오렌지 </span>
</div>
출력
4. 아이디 선택자(ID Selector)
HTML id속성의 값이 #ID(고유값)인 요소 선택
'#' 이 찍혀있으면 'ID선택자'다.
중요하게 사용된다.
css
.orange {
color: blue;
}
#orange {
color: red;
}
html
<div>
<ul>
<li> 사과 </li>
<li> 딸기 </li>
<li id="orange" class="orange"> 오렌지 </li>
</ul>
<div> 당근 </div>
<p> 토마토 </p>
<span class="orange"> 오렌지 </span>
</div>
출력
▷ 오렌지라는 글자는 모두 클래스 선택자를 가지고 있고, 위의 하나의 오렌지라는 글자에만 id선택자를 가진다.
출력결과를 보면 id선택자(#orange)[빨간색]가 가지는 값이 클래스 선택자(.orange)[파란색]가 가지는 값보다 우위에 있음을 알 수 있다.
반응형
'HTML CSS J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CSS) em, rem (0) | 2021.07.28 |
---|---|
CSS) px, % (0) | 2021.07.28 |
CSS) css 외부 참조 (0) | 2021.07.28 |
HTML / 요소 - 멀티미디어 - AUDIO, VIDEO, FIGURE, FIGCAPTION, IFRAME, CANVAS, SCRIPT, NOSCRIPT (0) | 2021.06.07 |
HTML / 요소 - 멀티미디어 - IMG, src, alt, width, height, srcset, sizes (0) | 2021.06.03 |
댓글
공지사항